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한국에서는 토스와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총 3개의 앱이 다운로드 순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디지털 퍼스트 금융사의 활발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한국 은행들은 광고 지출의 83%를 페이스북에 할당하며, 이는 전체 평균인 25%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반면 인스타그램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다. 인도 은행 브랜드 역시 페이스북을 인스타그램 보다 선호하며, 모바일 환경에서 도달 범위가 넓은 소셜 플랫폼을 중심으로 전략을 펼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가 최근 몇 년간 소비자 뱅킹 앱 다운로드 추세, 다양한 시장에서 소비자 뱅킹 브랜드의 디지털 광고 추세와 주요 광고 채널, 인기 광고 소재 등을 포함한 ‘2025년 소비자 뱅킹 앱 시장 및 광고 트렌드’ 리포트를 8일 발표했다.

소비자 뱅킹 앱은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20억 다운로드를 돌파하며 전년 대비 5.1% 성장, 금융 서비스의 핵심 분야로 자리 잡았다.
지난 2022년 초부터 분기별 다운로드가 꾸준히 증가해 현재는 분기당 5억 건을 넘어 모바일 금융 앱 분야에서 강력하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모바일 앱은 이제 금융 서비스의 기본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으며, 뱅킹 앱이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뱅킹 앱의 우위는 모바일 중심 경험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명확한 선호를 반영한다.
수백만 명이 앱 기반 뱅킹을 기본으로 사용함에 따라 이러한 플랫폼은 금융 서비스 업계 전반의 디지털 전환 속도를 견인하고 있다.
소비자 뱅킹 앱은 모바일 접속이 금융 인프라의 격차를 점차 해소하고 있는 신흥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다운로드 상위 앱인 ‘Nubank’, ‘Kotak Bank: 811’ 등은 여전히 전통적인 은행 계좌를 개설하기 어렵거나 지점 접근성이 제한된 지역에서 모바일 중심 뱅킹으로의 전환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장세는 지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계좌를 개설하고 송금하며 청구서를 납부할 수 있는 뱅킹 앱이 제공하는 편리함과 비용 절감 효과에 힘입은 바가 크다.
인도와 콜롬비아, 멕시코 등 금융 포용성이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는 시장에서 이러한 플랫폼은 필수 은행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시장별 소비자 뱅킹 앱 다운로드 순위를 살펴보면 기존 금융사의 강세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퍼스트 금융사들도 빠르게 성장하며 추격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특히 한국에서는 토스,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총 3개의 앱이 다운로드 순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디지털 퍼스트 금융사의 활발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성별과 연령별 사용자 통계는 시장별로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인도는 남성 사용자가 82%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일본과 미국은 보다 균형 잡힌 사용자층을 보유하고 있다.
모든 국가에서 젊은 성인(25~34세)이 앱 사용을 주도하고 있지만 동남아시아, 특히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서 18~24세 사용자의 참여가 두드러진다.
뱅킹 앱의 주요 사용자층과 시장별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은행과 핀테크 기업이 사용자 경험(UX), 커뮤니케이션 전략, 성장 전략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즉 포용적인 디지털 서비스를 설계하고, 기존 금융기관의 지원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고객층을 효과적으로 공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소비자 뱅킹 브랜드의 채널별 광고 지출은 시장마다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미국에서는 은행들이 전체 카테고리 평균보다 OTT와 유튜브에 더 많은 비중을 두며, 동영상 중심의 참여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일본에서는 은행 광고주들이 유튜브에 가장 많은 지출을 하고, 그 다음으로 인스타그램을 활용하고 있다.
한국과 인도에서는 보다 집중적인 광고 전략이 관찰된다. 한국 은행들은 광고 지출의 83%를 페이스북에 할당하며, 이는 전체 평균인 25%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반면 인스타그램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다. 인도 은행 브랜드 역시 페이스북을 인스타그램 보다 선호하며, 모바일 환경에서 도달 범위가 넓은 소셜 플랫폼을 중심으로 전략을 펼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모바일 뱅킹의 발전으로 소비자 뱅킹 앱은 접근성, 사용자 참여, 서비스 혁신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과제를 안게 됐다.
소비자 뱅킹 트렌드, 사용자 인구통계, 광고 전략 등 보다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소비자 뱅킹 앱 시장 및 광고 트렌드’ 리포트 전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