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국내 도산(회생·파산) 절차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법률문서를 데이터화해 금융권의 부실위험을 조기에 예측하는 기술이 등장한다.
한국법률데이터는 법원 회생·파산 사건에서 축적되는 문서와 거래 정보를 정제해 ‘금융 조기경보시스템(EWS)’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금융권이 기존 신용평가만으로는 예측하기 어려웠던 30~90일 단기 연체 가능성을 조기 포착하는 것이 이 기술의 핵심이다.
□ 회생·파산 절차 전 과정 자동화…업무 시간 80% 단축
한국법률데이터는 회생 서류 발급부터 법원 신청서 제출에 이르는 전 과정을 자동화한 ‘법률사무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송 관련 업무 처리 시간을 80% 이상 단축할 수 있다. 자동화 과정에서 생성·수집되는 방대한 실제 문서가 바로 이번 금융 EWS의 기반 데이터가 된다.
한국법률데이터는 은행·공공기관 방문 업무, 부채증명서 발급, 채무 추적 등 오프라인 기반에서 확보한 실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있다.
□ 국내 유일 회생·파산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부실 패턴 분석
현행 대안신용평가나 핀테크 기업의 대부분은 플랫폼 기반 일반 신용데이터만을 활용해 금융 포용성을 확대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는 소비 패턴이나 생활 성향 기반의 간접 지표가 주를 이뤄 연체 가능성 자체를 직접 예측하는 데 한계가 있다.
반면 한국법률데이터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실제 회생·파산 사건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채무 원인, 소비 패턴, 거래 흐름, 채무 조정 양상 등을 정밀 분석할 수 있다.
□ 금융기관·로펌과의 데이터 생태계 구축 기대
한국법률데이터의 전략 중 하나는 로펌을 포함한 법률시장과 금융권의 데이터 생태계를 연결하는 것이다.
로펌은 플랫폼 이용료를 지급하는 대신 자동화된 회생·파산 업무 처리와 정교한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고, 회사는 안정적인 실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회사 측은 회생·파산 정보는 금융 부실을 가장 먼저 반영하는 실증 데이터라며, 이를 기반으로 금융권의 조기경보 체계를 혁신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법률데이터의 기술이 도입될 경우 금융기관은 기존 신용평가로는 판단하기 어려웠던 ‘실제 부실 가능성’을 예측하는 새로운 기준을 확보하게 될 전망이다.
한국법률데이터는 2022년 8월 법인을 설립해 금융결제원에서 오픈뱅킹 이용적합성 승인을 받은 핀테크 기업이다.
개인이 소송을 진행할 때 필요한 법원 제출 서류의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했고 공동인증서 등록을 통한 금융거래 데이터의 자동 분석 및 적요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