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노믹스 정의철 기자 |
공사 과정에서 보강 철근이 누락된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한 아파트 15곳의 명단이 공개됐다.
이번 순살아파트 논란으로 건설 산업 전반에 걸쳐 부실 설계·시공·감리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면서 정부는 민간 아파트에 대해서도 전수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지난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LH가 발주한 임대·분양 단지 중 ‘지하 주차장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91곳을 전수조사한 결과 15개 단지에서 철근이 제대로 시공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확인된 15개 단지는 △파주 운정 A34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 RH11 △수서 역세권 A3(분양 포함) △수원 당수 A3(분양 포함) △오산 세교2 A6 △남양주 별내 A25(분양 포함) △음성 금석 A2 △공주 월송 A4 △아산 탕정 2-A14 △양주 회천 A15 △광주 선운2 A2 △양산 사송 A2(분양 포함) △양산 사송 A8 △파주 운정3 A23(분양 포함) △인천 가정2 A1 등이다.
15곳 가운데 준공 완료 단지는 9개, 공사 중인 단지는 6개다. 또 입주민들이 이미 입주한 단지는 5개이며, 입주 중인 단지가 3개, 미입주 단지가 7개다.
이 중 입주를 마친 단지는 파주 운정과 남양주 별내, 아산 탕정, 음성 금석, 공주 월송 등 5개 단지다.
시공사 명단은 DL건설을 비롯해 대보건설, 일신건설, 대보실업, 동문건설, 삼환기업, 이수건설, 한신공영, 한라, 성원건설, 효성중공업, 에이스건설, 대우산업개발 등으로 인지도가 높은 건설사들이 포함됐다.
국토부는 공공주택단지뿐만 아니라 민간이 발주한 약 300곳의 아파트 단지에도 무량판 구조가 적용됐다며 8월 말 발표를 목표로 이들 단지에 대한 철근 누락 여부 역시 전수조사할 방침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정부가 전국 지자체를 통해 파악한 민간 부문 무량판 구조 적용 아파트 단지는 총 293곳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