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전면 플렉스윈도우와 향상된 배터리 탑재한 ‘갤럭시 Z 플립7’ 공개
1.25mm 슬림 베젤을 적용한 4.1형 플렉스윈도우 최대 120Hz 주사율이 적용된 6.9형 메인 디스플레이 접었을 때 두께 13.7mm, 무게 188g, 플립 시리즈 최초 4300mAh 배터리 플렉스윈도우에서 시작되는 한층 직관적이고 개인화된 AI 경험 폼팩터에 최적화된 One UI 8 탑재로 진정한 멀티모달 AI 경험 제공 가격은 256GB 스토리지 모델 148만5000원부터, 15일에 사전 판매 시작 노태문 사장, “최적화된 손안의 AI 컴패니언으로 새로운 사용자 경험 제시”
-
웹케시, SK쉴더스와 고객 기반 확대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중소·중견기업 대상 맞춤형 보안 솔루션 공동 공급 및 마케팅 협력 추진 보안 역량 결합 통해 고객 신뢰도 및 기업가치 동반 제고 기대
-
페르미, 중소벤처기업부·마이크로소프트 ‘2025 마중 프로그램’ 선정… AI 상담 고도화 본격화
디지털 대면 상담 솔루션에 AI Assist 기능 고도화 마이크로소프트의 지원을 통해 글로벌 SaaS 기업 도약 기회 확보
-
LS일렉트릭, 차세대 전략 솔루션 앞세워 아세안 시장 공략
‘일렉스 베트남 2025’ 참가… 16일부터 사흘간 호찌민 SECC에서 개최 초고압 변압기·전력관리 시스템·ESS 플랫폼 등 하이엔드 제품 대거 공개 베트남 1등 인지도 앞세워 빅테크 IDC 중심 떠오른 아세안 시장 선점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LS ELECTRIC(일렉트릭)이 글로벌 빅테크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와 제조업 강화 정책으로 전력 수요가 가파르게 확대되고 있는 아세안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 LS일렉트릭은 오는 16일부터 18일까지 3일간, 베트남 호찌민시 사이공전시컨벤션센터(SECC)에서 열리는 ‘ELECS VIETNAM 2025(일렉스 베트남 2025)’에 참가한다. LS일렉트릭은 참가기업 최대 규모인 16부스(144㎡) 규모의 전시 공간에 ‘LS일렉트릭이 만들어갈 베트남의 미래 에너지 세상’을 주제로 △스마트 전력 관리 △탄소중립(RE100) △디지털 전환(DX) △스마트 팩토리 등 4개 전시 존(ZONE)을 마련한다. LS일렉트릭은 ‘스마트 배전 솔루션’과 ‘스마트 초고압 변압기’를 연계한 차세대 전력관리시스템과 ESS(에너지저장장치) 등 현지 맞춤형 전략 제품을 전면에 전시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전력 솔루션 기술력과 공급 역량을 강조할 계획이다. LS일렉트릭 차세대 ESS 플랫폼은 전력 변환 분야 핵심 기술과 모터 제어 속도를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시키는 전력전자 기반 산업용 드라이브(인버터) 분야에서 쌓아 온 세계 최고 수준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독자 개발한 제품이다. 특히 전력 변환 핵심 부품인 PEBB(펩; Power Electronic Building Block)를 200kW 단위로 모듈화해 스마트 독립 운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디지털트윈 스마트공장 플랫폼 ‘SMI(Smart Management Insight)’ △자산 관리시스템(AMS; Asset Management System) △에너지 효율 관리 플랫폼 ‘그리드솔 큐브’(GridSol CUBE) △전력설비 통합 관리 플랫폼 ‘그리드솔 케어’(GridSol CARE) 등 수요자 맞춤형 IoT 디지털 기술 기반 에너지 최적화 솔루션을 전시한다. 베트남 제조 현장 맞춤형 스마트 안전관제 플랫폼 ‘LS SHE(Safety·Health·Environment) with AI’도 공개한다. ‘SHE with AI’는 인공지능(AI) 기술 기반 안전 관제 솔루션으로 다양한 스마트 안전 디바이스, CCTV 등을 통합 실시간 관제·분석할 수 있다. LS일렉트릭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를 거점으로 아세안 전력 인프라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LS일렉트릭은 1990년대 중반 국내 전력 기업 중 가장 먼저 베트남에 진출한 후, 저압 전력기기 시장 점유율 40% 이상을 차지하며 2013년부터 줄곧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지난 2023년 박닌성 옌퐁 공단에 ‘박닌 신(新) 사업장’ 이전 준공을 통해 현지 생산 규모를 연간 2500만달러에서 4000만달러 수준으로 크게 확대했다. 인도네시아 전력기기 회사 심포스(Symphos)를 인수해 저압 시장을 넘어 초고압 GIS(가스절연개폐장치) 등 하이엔드 제품을 추가하고 전력 시스템 산업 전반으로 사업 구조를 다각화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지난 4월 개정한 제8차 전력개발계획(PDP8)을 통해 태양광과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를 상향하고, 전력망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그리드 구축 정책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아마존웹서비스(AWS),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아세안 지역에 총 100억달러 이상 규모의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을 밝혔다. 잇따르는 제조업 확대와 AI 데이터센터 건설로 아세안 각국 전력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2025년 560억달러(약 76조원)인 아세안의 평균 전력 투자(Power CAPEX)는 오는 2030년에는 2000억달러(약 273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LS일렉트릭은 "K-전력 빅 3시장으로 성장한 베트남의 현지 점유율 1위 기업 지위를 공고히 하고 아세안 고객에게도 사업 역량을 확실히 각인시킬 것"이라며 "현지 전력 시스템 사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변압기, ESS 등 하이엔드 전략 제품을 앞세워 전 세계 데이터센터 허브로 떠오르는 아세안 지역 시장 확대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
솔트웨어, 공정거래위원회 주최 공모전 AI 대상 수상
Track 2(공정거래 혁신 인공지능 모델 개발) 부문에서 최고의 영예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AI 전문 기업 솔트웨어(대표·이정근)가 공정거래위원회가 주최한 ‘제1회 공정거래 데이터 활용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해 AI 기술력을 또다시 입증했다. 솔트웨어 AI Platform Group의 AI개발팀은 이번 공모전에 참가해 ‘프랜차이즈 융복합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모델 개발’ 주제로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Track 2(공정거래 혁신 인공지능 모델 개발) 부문에서 최고의 영예를 안았다. 미국 웨이츠 & 비아시스(Weights & Biases)사에서 운영하는 한국어 평가 리더보드에서 오픈소스 모델 분야 1위를 기록한 성과에 이어 AI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공모전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개방 데이터를 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굴과 AI 모델·데이터 분석 기반의 행정 혁신을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기획한 것이다. ‘Track 1: 공정거래 혁신 아이디어 기획’과 ‘Track 2: 공정거래 혁신 인공지능 모델 개발’로 나뉘어 진행됐다. 솔트웨어는 프랜차이즈 도메인에 특화된 임베딩 모델을 직접 파인 튜닝하고, 독자적인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아키텍처를 구현해 사용자 질문에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는 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기존 대비 약 7%p(BERT-score 기준)의 성능 향상을 달성한 것으로 평가된다. 솔트웨어 하재환 매니저는 “이번 공모전은 솔트웨어가 보유한 생성형 AI 및 LLM 기술의 우수성을 대외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며 “앞으로도 공공 영역에서 솔트웨어의 기술력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 개발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솔트웨어는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레드햇, 오라클 등 글로벌 벤더사와 협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ISV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파트너십 체결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기존 사업의 안정적인 수익 구조와 AI 비즈니스의 성장세에 따라 1분기 흑자 전환을 달성했다.
-
에즈웰에이아이, 국내 최초로 NVIDIA DGX Spark 1500대 공급
한국 AI 인프라 생태계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 마련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AI 풀스택 솔루션 전문 기업인 에즈웰에이아이(Azwell AI)는 국내 최초로 NVIDIA의 차세대 데스크톱 AI 슈퍼컴퓨터 DGX™ Spark 1500대를 국내에 단독 공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공급되는 모델은 NVIDIA의 글로벌 한정 생산 제품이다. 엔비디아 공식 총판인 에즈웰에이아이가 국내 최초로 1500대를 데스크톱 AI 슈퍼컴퓨터 시장에 공급함으로써 한국 AI 인프라 생태계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NVIDIA DGX Spark는 새로운 범주의 컴퓨터로, Agentic AI, 생성형 AI, 대규모 언어 모델(LLM), 고성능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사용 사례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의 핵심에는 NVIDIA Blackwell GPU와 NVIDIA Grace CPU를 결합한 NVIDIA GB10 Grace Blackwell 슈퍼칩이 탑재돼 있어, 뛰어난 연산 효율성과 확장성을 구현한다. NVIDIA는 이 제품을 ‘책상 위의 Grace Blackwell AI 슈퍼컴퓨터’로 소개했으며, 이미 시장에서는 초소형 폼팩터에 슈퍼컴퓨터급 성능을 담은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에즈웰에이아이는 "이번 출시가 단순한 하드웨어 공급을 넘어, 한국 AI 생태계 도약의 촉매가 될 것"이라며 "프리랜서 개발자, 스타트업, 연구소, 대학, 병원 등 다양한 사용자가 생성형 AI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최적의 인프라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제품 구매 및 문의는 공식 홈페이지(www.azwell.ai) 또는 이메일(sparksales@azwell.ai)을 통해 가능하다. 에즈웰에이아이는 NVIDIA 파트너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성공적인 AI 솔루션을 제공하며, 제조·금융·헬스케어·물류·엔터테인먼트 등 프로젝트마다 고객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을 공급하고, 현장에서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의 AI 시스템을 더욱 정교하게 구축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
-
㈜환경재난안전채널, AI 영화제 'WAIFF 서울 2026' 공동 기획사로 선정
한-불 수교 140년 맞아 열리는 WAIFF 성공 개최를 위한 운영 전반 참여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환경재난안전채널(eds channel)이 최근 내년 3월 서울서 개최되는 AI 영화제인 WAIFF 공동 기획사로 선정됐다. ㈜환경재난안전채널(eds channel)은 지난 8일 오후 5시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인터콘티넨탈서울에서 외교컬쳐클럽㈜·㈜비전컬쳐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날 ㈜환경재난안전채널은 오는 2026년 3월 서울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AI 영화제인 WAIFF(World AI Film Festival) Seoul의 공식 운영사인 외교컬쳐클럽㈜·㈜비전컬쳐와 함께 공동기획사로 공식 선정됐다. 이에 따라 ㈜환경재난안전채널 등 업무 협약사들은 정부지자체, 기업체 등을 대상으로 AI 영화제인 WAIFF의 후원 유치와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영화제 운영 전반에 걸친 업무에 관해 협업하게 된다. 특히 2026년은 한-불 수교 140주년을 맞는 해로 문화적으로도 뜻깊은 시점에 열리는 국제행사인 만큼 다양한 의미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될 예정이다. 한편, 프랑스 칸 영화제가 열리는 알프-마리팀(Alpes-Maritimes) 주의 니스(Nice)에서 지난 4월11일~12일에(양일간) 개최된 세계 인공지능 영화제인 WAIFF에는 65개국에서 출품된 1천여 편의 단편영화와 함께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영화제에는 글로벌 영화인과 AI 산업관계자, 스타트업 리더들이 대거 참여해 AI와 영화의 융합 가능성을 조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