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경기북부 방산혁신 클러스터 심포지엄’ 열고 육성 전략 논의
지상MRO· AI 등 미래 방산전략 논의… “경기북부, K-방산 혁신거점 잠재력 확인” 민·관·군 협력체계·인프라 확충·국비 연계 등 실행과제 공감대 형성
-
오산 가장동에 ‘어플라이드 컬래버레이션 센터 코리아’ 설립된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AI 위한 차세대 반도체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가속화할 신규 협업 거점 구축 EPIC 플랫폼 일환으로 반도체 생태계 전반에 협력 강화
-
AI오투오 ‘2025 APAC TV Summit’ 통해 아시아·태평양 미디어 시장 공략 본격화
태국 방콕서 AI 콘텐츠 자동화·IPTV 연동 솔루션으로 APAC 미디어 기업 공략 50건 이상의 지식재산권으로 구축한 기술 해자, 미디어 AI 시장 차별화 IPTV·OTT 시대, 고객 맞춤형 콘텐츠 자동화 수요 급증
-
삼성전자 ‘삼성 테크 콘퍼런스 2025’ 온라인으로 개최
‘AI 사이버 첼린지 결승전 우승…삼성리서치 AI보안 기술 리더쉽 등 공유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삼성전자가 20일 ‘삼성 테크 콘퍼런스 2025(Samsung Tech Conference 2025, STC 2025)’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이날 삼성전자는 ‘인공지능 전환(AX, AI Transformation)’을 주제로 △AI 에이전트 △로봇 AI △차세대 보안 △통신 등 혁신적인 선행 기술부터 상용화 기술까지 다양한 성과와 비전을 공유했다.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AI는 이미 단순한 도구가 아닌 일상과 업무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며 “디지털 전환을 넘어 인공지능 전환이라는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고 강조했다. □ ‘인공지능 전환’ 시대에 4대 핵심 기술 분야 제시 이날 기조연설에서 삼성전자는 △AI 기반 차세대 보안 혁신 △지능형 소프트웨어(S/W) 플랫폼의 진화 △AI를 활용한 로봇 기술의 도약 △오픈소스 AI의 생태계 확장 등 인공지능 전환 시대의 4가지 핵심 기술을 소개했다. 또 리눅스 재단(Linux Foundation)의 짐 젬린(Jim Zemlin) 의장이 최신 오픈소스 AI 기술 동향을 공유했다. 기조연설 이후 진행된 기술 세션에서는 삼성전자 연구원 60여 명이 통신, 헬스케어, 보안, 스마트싱스(SmartThings) 등 다양한 분야에 AI를 적용한 최신 연구 성과 40여 건을 발표했다. 이날 △보이스피싱과 악성 앱 AI 자동 탐지 △AI 기반 고전 영상 고화질 복원 △30분 만에 갤럭시 XR 콘텐츠 제작하기 △온디바이스(On-Device) 오디오 지우개(Audio Eraser) △무선 통신 기지국 AI 품질 최적화 등 다양한 사례가 소개됐다. □ ‘AI 사이버 첼린지 결승전 우승…삼성리서치 AI보안 기술 리더쉽 등 공유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 8월에 미국 정부 주최로 개최된 글로벌 보안 기술 경진 대회 ‘AI 사이버 챌린지(AIxCC)’ 결승전에서 최종 우승한 삼성리서치의 AI 보안 기술 리더십과 향후 연구 방향도 공유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기술 성과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며 개방형 기술 협력과 AI 기술 생태계 확장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
중국 광저우에서 돌아온 LG디스플레이, 파주에 7천억 규모의 OLED 신기술 인프라 투자 추진
20일, LG디스플레이 및 주요 협력사 대표와 ‘차세대 OLED 투자현장 간담회’ 개최 김동연 “경기도, 파주시, LG디스플레이는 한 팀. K-디스플레이 발전 전기될 것” 차세대 OLED 전환을 통한 경기북부 산업생태계 강화 및 K-디스플레이 경쟁력 제고 기대 간담회 이어 파주 헤이리 마을서 무인자율주행차 ‘ROii(로이)’ 시연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LG디스플레이는 중국 광저우 LCD 공장 매각 이후 파주 LCD 일반산업단지에 지난 6월부터 오는 2027년 6월까지 약 7천억 원 규모의 OLED 신기술 준비 및 인프라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이는 OLED 중심의 고부가가치 산업 구조로 전환하고, 파주공장 내 유휴공간을 활용해 차세대 기술 확보에 속도를 내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경기도, 파주시는 LG디스플레이와 지난 7월 31일 국내복귀 투자협약(MOU)을 체결하고, 신속한 행정지원을 통해 투자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협력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장비·소재·부품 국산화율이 높아 지역 연관산업 파급효과가 큰 만큼, 이번 투자를 통해 협력기업 성장, 고용 확대, 지역경제 활력 제고 등 경기북부 전반의 경제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차세대 OLED 설비투자가 본격화되면 파주 LCD 클러스터는 지역 산업 생태계 강화와 경기북부 디스플레이 산업 기반 강화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20일 파주에서 17번째 민생경제 현장투어를 진행 중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파주 LG디스플레이를 찾아 디스플레이 산업 현황을 점검하며 업계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파주 LG디스플레이 R&D동에서 열린 ‘차세대 OLED 투자현장 간담회’에는 김경일 파주시장을 비롯해 박정 국회의원, 안명규·이용욱 도의원, LG디스플레이와 주요 협력사 대표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김동연 지사는 “리쇼어링(해외로 이전했던 기업의 생산기지나 공장을 다시 자국으로 되돌리는 것)에 있어서 경기도, 파주시, LG디스플레이가 한 팀이 돼서 잘하도록 하겠다"며 "작게는 파주시의 상전벽해를 만들었으면 좋겠고, 크게는 대한민국 K-디스플레이 발전에 커다란 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철동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는 “지난 20년간 경기도, 파주시와 함께 한 LG디스플레이는 까다로운 수도권 규제를 해소하고 대규모 단지를 조성해 주셔서 저희들이 여기에 자리를 잡게 됐다”며 “지난 6월 신기술 투자를 할 때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주신 만큼 신기술 투자가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협력사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기업인들은 기술 경쟁력 강화, 전문인력 확보, 지역 인프라 개선 등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협력사인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는 “파주가 추우면 저희도 춥고 파주가 따뜻하면 저희도 따뜻하다"며 "국가산단도 있지만 경기도 소부장 산업단지도 만들어 주신다면 소부장 기업들이 빨리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태훈 엠티어 대표이사는 “GTX 운정중앙역이 생겼는데 역에서 공단으로 가는 버스가 생긴다면 구성원들의 불편이 많이 해소되고 인력 수급에도 좋지 않을까 한다”고 건의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말씀 주신 것들을 경기도가 하고 있는 정책과 잘 연계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는 검토해 경기도가 앞장서서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김동연 지사는 이후 경기미래교육 파주캠퍼스에서 레벨4 무인자율주행차 ‘ROii(로이)’ 시연 행사에 참여했다. ‘ROii(로이)’는 오토노머스에이투지(a2z)가 제작한 국내 최초 인증 레벨4 무인 자율주행차로, 운전자 개입 없이 정해진 구간을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차량이다. 지난 경주 APEC 기간에도 무사고 운행을 기록해 기술 안정성을 입증했다. 김 지사는 시연차량에 탑승해 헤이리마을 일원 1.1km 구간을 이동하며 차량 안전성과 주행 시스템을 직접 확인했다. 현재 경기도에는 판교·시흥·안양·용인·화성·수원·고양 총 7개 지구가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로 지정돼 있다. 도는 파주와 함께 광명·양주·안산· 성남 5곳을 추가 시범운행지구로 지정할 계획으로 파주는 12월 지정 예정이다. 파주시는 2026년 운정신도시·교하동·금촌동 일원에 자율주행버스 2대를 우선 투입하고, 노선이 안정화되면 2027년 헤이리마을까지 확대도 검토할 방침이다.
-
서울AI재단-성균관대학교, 도시 AI 혁신을 위한 협력 본격화
재단-성균관대, 11월 14일(금) AI 전환·지역 혁신·인재양성 등 전방위 협력 약속 서울 RISE 사업 목표 공유, ‘AI 선도도시 서울’ 구현 위한 상생 협력 기반 마련 지역 중심의 AI 혁신 생태계 조성하기 위한 지자체·대학 간 협력 모델 기대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서울AI재단(이사장·김만기)과 성균관대학교(총장·유지범)는 지난 14일 성균관대학교에서 ‘서울의 AI 발전과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서울시 AI 전환, 지역 혁신, 지·산·학(지자체·기업·대학) 상생, 인재양성 등 분야에서의 전방위적 협력에 나섰다. 이번 협약은 서울 RISE(지역혁신중심대학지원체계) 사업의 목표를 공유하고, 서울의 AI 발전과 인재양성, 혁신성장 및 번영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양 기관은 서울형 AI 혁신 모델을 구축하고 공공과 학계가 함께하는 지속 가능한 협력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협력 분야는 △AI 행정혁신 및 시민 AI 동행 등 서울시 AI 전환 사업 협력 △서울 RISE 사업의 핵심 전략과 연계된 지역 혁신 사업 협력 △서울 중심의 지·산·학 상생 기반 성장 협력 △AI 인재양성 사업 협력 등 4대 영역이다. 양 기관은 협약 내용을 바탕으로 4대 분야별 공동 사업을 발굴하고 전문성과 인프라를 공유하며 실질적 협력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재단의 정책 지원 능력과 대학 교육 자원을 긴밀히 연결해 공공서비스와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AI 역량을 갖춘 실무형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할 계획이다. 서울시 행정과 지역 혁신, 나아가 사회 전반의 AI 혁신을 선도하는 핵심 인재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성균관대학교 유지범 총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성균관대학교가 축적해 온 교육·연구 역량을 서울시의 AI 행정과 지역 혁신에 체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서울 RISE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더불어 AI 인재를 양성하고 지·산·학이 함께 성장하는 협력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서울AI재단 김만기 이사장은 “이번 협약은 대학과 공공기관이 서울을 AI 선도도시로 만드는 과정에서 역할을 분담하고 힘을 모았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성균관대학교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AI 인재를 지속적으로 배출하고, 지역 중심의 AI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재단의 역량과 자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항공안전기술원, 2025년 제5회 K-UAM 국제 컨퍼런스 성황리 개최
제5회 K-UAM 국제컨퍼런스, 11월 19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 개최 미국·영국 등 주요국 AAM 정책 로드맵 및 실증현황 공유… 국내외 11인 정책 및 산업 전문가 참여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항공안전기술원이 주관한 ‘2025 K-UAM 국제컨퍼런스’가 지난 19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올해 5회를 맞이한 본 행사는 2021년 첫 회를 시작으로 매년 UAM(도심항공교통)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해 왔다. 올해는 인천광역시가 주최하는 ‘K-UAM Confex’와 연계해 진행돼 글로벌 협력 기반을 한층 강화했다. 올해 행사에는 국내외 UAM 산업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했으며, 13명의 정책 담당자와 기업 전문가가 연사로 참여했다. 미국·영국·캐나다(퀘벡) 등 주요국의 정책 동향을 비롯해 기체 개발, 실증 사업, 인증 제도까지 UAM 산업 전반을 포괄해 깊이 있는 발표와 논의가 이어졌다. 이번 컨퍼런스는 2개의 세션으로 진행됐으며, 첫 번째 세션에서는 미국 오디스 에비에이션(Odys Aviation), 영국 교통부(DfT), 캐나다 퀘벡 항공우주 연구혁신 컨소시엄(CRIAQ) 등 주요 기관이 참여해 각국의 UAM 정책과 제도 정비 사례를 소개했다. 공역 운영 방식, 인프라 구축 전략, 상용화 준비 수준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으나 안전성 확보와 인증체계 정립이 글로벌 공통 과제로 부각되면서 국가 간 협력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됐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UAM 실증 및 상용화 추진 현황에 초점을 맞춘 발표가 이어졌다. 에이아이피 마인즈(AIP Minds, 미국 FAA DER), 삼보모터스, 제로아비아(ZeroAvia), 마이터(MITRE), 네덜란드 항공우주연구소(NLR), 이브 에어 모빌리티(Eve Air Mobility), 인텐트 익스체인지(Intent Exchange) 등이 참여해 각 사의 기체·동력체계 개발 현황과 실증 경험, 인증 전략 등을 공유했다. 수소·전기 기반 추진체 개발, 글로벌 공동 실증 사례, 인증 프로세스 접근 방식 등 다양한 주제가 다뤄지며 UAM 상용화를 위한 기술·제도 로드맵이 제시됐다. 각 세션 후반에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한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국제 기준 정합성 확보, 인프라 및 교통관리 체계 마련, 민관 협력 확대 등 글로벌 시장 활성화를 위한 핵심 과제를 논의했다. UAM 산업이 초기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국가 간 공조를 통해 표준과 기술을 조율하는 것이 미래 시장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항공안전기술원은 이번 컨퍼런스를 계기로 국내외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고, 안전성 확보와 기술 신뢰도 제고를 위한 연구·인증 역량을 지속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