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강판밸리


인공지능의 모든 것 한눈에 ‘제8회 국제인공지능대전’ 개최… AI 기술과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그리다

오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A홀 전관, 아시아 최대 단일 인공지능 행사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인공지능(AI) 기술의 급격한 진화 속에서 미래 산업의 청사진을 제시할 아시아 최대 규모의 AI 전시회 ‘제8회 국제인공지능산업대전(AI EXPO KOREA 2025)’가 오는 14일부터 16일까지 사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 A홀(1층) 전관에서 개최된다.

 

 

국내 AI 생태계 조성과 AI 산업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2018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8회째를 맞은 AI EXPO KOREA 2025는 △한국인공지능협회, △서울메쎄와 인공지능신문이 공동주최한다.

 

매년 AI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하고, 가장 화두가 되는 AI 기술과 실제 비즈니스 적용 사례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최신 정보와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다양한 산업에서 기업과 기관들이 AI 시대에서 AI 전략과 대응방안을 기획·설계하는 장으로, 국내 AI 생태계 조성과 발전에 혁혁한 기여를 통해 명실상부한 아시아 최대 AI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지난해 개최된 제7회 행사에는 11개국 250여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하고 3만2000여 명 이상의 참관객과 바이어가 방문하며 뜨거운 열기 속에 AI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했다.

 

AI EXPO KOREA 2025는 이러한 성공을 발판 삼아 더욱 확장된 규모와 풍성한 콘텐츠로 찾아올 예정이다.

 

주최 측은 올해 18개국 322개사 규모로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해 550여 부스 규모로 펼쳐질 것으로 예상하며, △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5년 AI 산업은 개인화된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AI 에이전트(AI Agent)’, 더욱 정교하고 다재다능해진 ‘대형언어모델(LLM)’, 그리고 이 모든 기술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AI 인프라’를 중심으로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AI EXPO KOREA 2025는 이러한 핵심 트렌드를 집중 조명하며, 참관객들에게 AI 기술의 최전선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단순한 챗봇을 넘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복잡한 작업을 자율적으로 계획 및 수행하는 AI 에이전트 기술이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개인 비서, △스마트홈 제어, △산업 자동화, △고객 서비스 혁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AI 에이전트 솔루션과 실제 적용 사례가 대거 공개된다.

 

방문객들은 AI 에이전트가 어떻게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창출하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픈AI의 GPT 시리즈, △구글의 제미나이(Gemini), △메타의 라마(LLaMA), △딥시크(Hangzhou DeepSeek) 등으로 대표되는 LLM은 이미지를 넘어 영상 생성까지 가능한 멀티모달 기능으로 진화하며 더욱 창의적이고 고도화된 작업 수행 능력을 선보이고 있다.

 

AI EXPO KOREA 2025에서는 국내외 주요 기업들이 개발한 최신 LLM과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 △ 산업별 특화 LLM 솔루션들이 시연과 함께 선보인다.

 

특히, △LLM의 윤리적 사용, △데이터 보안, △모델 경량화 및 최적화 기술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도 이루어질 전망이다.

무엇보다도 AI 구축 및 전략을 위해서는 단순히 모델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특정 사용 사례에 맞게 주어진 모델을 파인튜닝하고 AI 구축과 배포에 드는 막대한 비용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필요로 한다.

 

여기에 이번 전시에서는 AI 칩부터 가속기, △스토리지, △AI 서버, △다양한 에지 디바이스와 컴퓨팅, △HPC, △클라우드, △데이터센터까지 이를 아우르는 ‘AI 인프라’ 기술 및 솔루션, △트렌드, △구축 전략 및 적용 사례와 현장 속에서 AI 적용 그리고 AI 융합의 관점에서 고민할 예정이다.

 

게다가, △AI 인프라와 온디바이스 AI를 통해 우리의 생활과 산업과 비지니스에서 AI가 소통하는 방법과 구체적인 전략 등 솔루션과 시연이 이어진다.

또한 이번 전시회에서는 AI 개발과 운영을 위한 핵심 인프라 기술과 솔루션, △데이터 수집·가공·분석 플랫폼, △AI 모델 학습 및 배포 자동화 도구 등 AI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들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국내외 반도체 기업, △데이터센터 솔루션 제공업체,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이 최신 기술을 선보이며 AI 시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제 AI EXPO KOREA 2025는 단순한 기술과 산업 전시를 넘어, AI가 가져올 비즈니스와 다양한 산업에서의 혁신에 대한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하는 장이 될 것이다.

 

참가 기업들은 자사의 AI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이며 새로운 비즈니스 파트너를 발굴하고, 참관객들은 AI 도입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대한 최신 정보와 관련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이번 AI EXPO KOREA 2025 주요 출품 및 전시 품목으로는 먼저 ‘AI Elemental Technologies·H/W·S/W’ 분야에서 생성AI, △대형언어모델(LLM, sLLM), △설명 가능한 AI, △머신러닝, △딥러닝, △메타러닝,  제로샷러닝, △강화학습, △자연어처리(NLP), △음성 인식, △이미지 인식, △영상 인식 등의 플랫폼과 AI 칩·부품, △가속기, △스토리지, △AI서버, △에지 디바이스, △에지 컴퓨팅, △HPC,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및 관련 설비 등의 다양한 AI 인프라와 플랫폼·솔루션 등이 전시된다.

‘AI Applications & Services’ 분야에서는 AI 에이전트 솔루션과 챗GPT 등 국내외 다양한 대화형 어시스턴트 플랫폼, △ AI휴먼(디지털 휴먼), △ RPA, △ 5G·네트워크, △ IoT, △ 자율주행, △ 의료·헬스케어, △ 금융, △ 보안, △ 제조·유통·소매, △ AI로봇, △ 웨어러블, △ 스마트팩토리, △ 스마트시티·홈, △ 드론·UAV, △ 인공지능 컨택센터(AICC), △ 예측 유지 보수, △ AI 컨설팅 등으로 이를 직접 체험하고 시연할 수 있다.

‘AI+X 융합 서비스’ 분야에서는 AI를 통해 ​​각 융합 산업, △ 교육과 유통, △ 제조, △ 모빌리티, △ 로봇, △ 의료, △ 헬스케어 등의 환경을 어떻게 구축해야 하는지와 제품의 시장 경쟁력과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제품의 차별화 및 비용의 효율적인 성능을 개선하고, △ 생산성을 높이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산업별 ‘AI+X 관’을 추가로 설치해 각 산업의 그 대응 방향과 구현 전략을 제시한다.

‘데이터 산업 및 서비스’ 분야에서는 생성 AI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미래 산업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데이터 합성부터 데이터 수집, △ 가공, △ 마이닝, △ 시각화, △ 정제, △ 분석, △ 모니터링, △ 저장, △ 관리 서비스 및 플랫폼 등과 새로운 데이터 비즈니스 모델과 기업의 경쟁력 강화, △ 사회적 가치 창출 등 다양한 영역에서 데이터 산업, △ 그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부대행사로는 △‘2025 AI Excellence Summit Awards’, △ △‘AI EXPO KOREA SUMMIT(3일간)’, △ △‘All In (AI) DAY 메인컨퍼런스(2일간)’, △ △‘25년 육사 AI R&D 센터-K-SAEM 합동세미나’, △ △참가기업 솔루션 및 플랫폼 발표, △ △국내 AI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해외 기관들의 각국 시장 및 지원 사업을 소개하는 ‘AI Synergy Global Link’, △ ‘AI Convergence! 삶을 바꾸는 AI’, △ △나를 위한 기술을 주제로 ‘AI EXPO KOREA KIBWA’ 세미나, △ △‘제4회 육군 인공지능 아이디어 공모전(feat. 해병대)’, △ △KAIST 김재철 AI대학원 AI기술설명회 ‘AI와 양자 기술의 경계를 넘다(세미나)’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준비돼 참관객들에게 다채로운 정보와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AI EXPO KOREA 2025 통합사무국은 "이번 AI EXPO KOREA 2025는 AI 에이전트, △ LLM, △ AI 인프라를 중심으로 빠르게 진화하는 AI 기술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이어, △ "AI 기술의 최전선을 확인하고 다양한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펼쳐질 미래 사회의 모습을 미리 조망하며, △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리가 될 것"이라며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직접 체험하고 전문가들과 교류하며 미래를 위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AI EXPO KOREA 2025에 대한 자세한 정보 및 참가 문의는 공식 웹사이트(aiexpo.co.kr) 또는 AI EXPO KOREA 통합사무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8회 AI EXPO KOREA 2025 주요 전시품목과 참가업체 및 기관은 아래와 같다.


SUPER MICRO Computer, △ Lenovo, △ Nvidia, △ AMD, △ Tenstorrent, △ TICTAG, △ Polaris Office, △ 4S Mapper, △ Avnet Asia, △ Linkreal, △ MinIO, △ Suzhou Sophoton Tech, △ HP, △ INTEL, △ Yizhang Xinchenguang Electronics, △ Yuan High-Tech Development , △ 아바엔터테인먼트, △ YH데이타베이스, △ 가온플랫폼, △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 고려사이버대학교, △ 관악아날로그, △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 교보디티에스, △ 구르머스, △ 그래디언트, △ 글루시스, △ 나라원시스템, △ 네오와인, △ 네트로피, △ 넥스브이, △ 누리콘, △ 뉴로클, △ 뉴엔에이아이, △ 단비아이엔씨, △ 달파, △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 대구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 데이터빈, △ 데이터에듀, △ 데이톤, △ 도로시, △ 도스트11

동국시스템즈, △ 디노티시아, △ 디딤365, △ 디써클, △ 디엠티랩스, △ 디윅스, △ 디피니트, △ 딜랏, △ 딥엑스, △ 라온피플, △ 라이앤캐처스, △ 라이카지오시스템즈코리아, △ 래블업 , △ 레노버, △ 레인보우브레인, △ 로코모션뷰, △ 리더스시스템즈, △ 리드스피커코리아, △ 리모, △ 링크제니시스, △ 마음AI, △ 마키나락스, △ 메이팜소프트, △ 명인이노, △ 모빌린트, △ 몬드리안에이아이, △ 무하유, △ (미루웨어, △ 주식회사 바로에이아이, △ 버넥트, △ 버즈니, △ 베슬에이아이, △ 벨루가, △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 부산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 블루닷, △ 비솔, △ 비씨엠테크, △ 비아이매트릭스, △ 비에이치에스엔, △ 빛과수학, △ 주식회사 사미텍, △ 사이냅소프트

삼일회계법인, △ 세인티, △ 센싱코리아, △ 셀바스AI, △ 슈어소프트테크, △ 슈퍼브에이아이, △ 스퀴즈비츠, △ 슬렉슨, △ 시스트란, △ 씨에스리, △ 씨에이에스, △ 씨이랩, △ 씨이제이엔코리아, △ 아고라, △ 아르고스아이덴티티코리아, △ 아이브, △ 아이비테크, △ 아이씨뱅큐, △ 아이크래프트, △ 아이핌, △ 알서포트, △ 액션파워, △ 앱테스트에이아이, △ 어니컴, △ 어드밴텍케이알, △ 에너자이, △ 에스투더블유, △ 에이데이타, △ 에이아이네이션, △ 에이아이비즈, △ 에이앤지테크놀로지, △ 에이치쓰리솔루션, △ 에이치피코리아, △ 에이프리카, △ 엑스퍼트아이엔씨, △ 엔디에스솔루션, △ 엔유엘

엘리스그룹, △ 엠클라우독, △ 연무기술, △ 오픈네트웍시스템, △ 올거나이즈, △ 올빅뎃, △ 와이즈스톤, △ 원모어시큐리티, △ 위앤유텍, △ 위워크, △ 윌콘에이아이, △ 유니버스 에이아이, △ 유라클, △ 유알피, △ 유펜디, △ 이니그마, △ 이든티앤에스, △ 이스트소프트, △ 이슬림코리아, △ 이안, △ 인공지능팩토리, △ 인셈, △ 인스웨이브, △ 인이지, △ 인천광역시, △ 임팩티브AI,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제논, △ 제이지비퍼블릭, △ 젠다이브,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케이엘큐브, △ 케이투스 코리아, △ 코난테크놀로지, △ 코드크래프트, △ 코아시스템

코오롱베니트, △ 코코링크, △ 콕스웨이브, △ 퀀텀씨엔에스, △ 큐빅, △ 크레버스, △ 클루닉스, △ 테라텍, △ 테스트웍스, △ 투비소프트, △ 툰스퀘어, △ 티쓰리큐, △ 틱택코리아, △ 파워젠, △ 퍼즐데이터, △ 펀진, △ 페르소나에이아이, △ 페블러스, △ 폴라리스오피스, △ 퓨어스토리지, △ 프렌들리에이아이, △ 플로우, △ 피아스페이스, △ 하이퍼놀로지, △ 하이퍼엑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 한국딥러닝, △ 한국인공지능검증원, △ 한국인공지능협회, △ 한국자동차연구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휴인스 등

프로필 사진

강판밸리

더보기


Migration New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