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노믹스 김지혜 기자 | Announcement of the 11th Cultural Talk for Diversity & Inclusion The 11th Cultural Talk for Diversity & Inclusion will be held on October 12, 2024. This 11th Cultural Talk will focus on the theme of “Psychological Safety” For this session, we have invited three honorable speakers in this field to share in the perspective of Asian contexts and cultures and Western perspective. The event will be moderated by DEI and culture specialist Sophie Dowden Please register with the link below; https://tinyurl.com/11th-culturaltalk The event will be conducted online, with invited sp
뉴스노믹스 김지혜 기자 | The 10th Cultural Talk for Diversity & Inclusion event was held virtually on September 9, 2024, under the theme " “Life Across Different Cultures.” The 10th Cultural Talk for Diversity and Inclusion successfully offered insightful discussions on the challen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Speakers and participants shared personal experiences of adapting to various cultures, underscoring the need for empathy and cultural adaptability, particularly in the workplace. Mithun Mridha: Navigating Personal Values and Iden
뉴스노믹스 김지혜 기자 | The 10th Cultural Talk for Diversity & Inclusion will be held on September 14, 2024. This 10th Cultural Talk will focus on the theme of “Life Across Different Cultures.” For this session, we have invited three honorable speakers to share their life stories and lessons learned in their journeys of living in different countries and cultures. Speaker: Ala Kuczynska, Transformational and Intercultural Coach, originally from Poland, has lived in Spain, England, Scotland, and Canada. She will share her experiences in a talk titled "Bridging Cultures: A Journey from Poland to the W
뉴스노믹스 김지혜 기자 | Recently, I had the opportunity to give a lecture o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o a group of teachers from North Carolina. They had already visited various school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My lecture aimed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ncluding its historical, 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 to help answer some of the questions they had developed during their visit. In addition to the lecture, I was asked to conduct a Q&A session to address any remaining queries the American teachers might have. From t
뉴스노믹스 김지혜 기자 | The 9th Cultural Talk for Diversity & Inclusion event was held virtually on June 15, 2024, under the theme "Facilitation Journeys in East Africa." Three professional facilitators shared their experiences and journeys working as facilitators in Africa. The event was skillfully moderated by Sophie Dowden, who guided the discussions and ensured a smooth flow of conversation throughout the event. First Speaker: Sophie Kange The first speaker, Sophie Kange, an independent consultant and regional director for IAF Africa based in Kampala, Uganda, delivered a compelling talk on the
뉴스노믹스 김지혜 기자 | The 9th Cultural Talk for Diversity & Inclusion will be held on June 15, 2024, at 8:00 PM KST(MYT 7PM/WIB 6PM/IST 4:30PM/GST 3PM/EAT2PM/ CEST,SAT,CAT 1 PM/CET,BST,WAT 12PM/GMT 11AM/AET 9PM. This 9th Cultural Talk will focus on the theme of “Facilitation Journeys in East Africa.” For this session, we have invited professional facilitators from East Africa who will share their experiences and journeys as facilitators in the region. The event will be conducted online, with invited speakers delivering presentations on their respective topics(10 minutes each), followed by an open
뉴스노믹스 김지혜 기자 | '여성'을 주제로 한 제8회 다양성과 포용성을 위한 문화토크가 지난 27일 말레이시아와 아랍에미리트, 인도네시아 등 3개 국에서 참여한 3명의 연사와 함께 열띈 토론 속에 막을 내렸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날 문화토크에는 말레이시아의 Patricia와 아랍에미리트의 Samar, 인도네시아의 Pradnya 등 3명의 연사가 '여성이 다양한 사회에서 직면하는 도전'에 관한 주제로 발표했다. 이날 Patricia, Samar, Pradnya 등 3명의 연사의 발표는 여성의 느끼는 도전과 문화적 역동성에 대한 다양한 통찰을 제공했다. 특히 다양한 참가자들은 여성들이 전통적인 관습과 현대 가치를 조화롭게 유지하는 데 직면하는 도전에 대해 다양한 문화적 맥락 속에 논의를 펼치며 공감대를 형성했다. Patricia는 말레이시아의 시민사회 종사자이자 전문 퍼실리테이터로서 자신의 경력 여정과 성찰을 공유했다. 그는 "일하는 여성으로서의 개인적 성장과 도전에서 마주하는 어려움, 그리고 스스로의 부담감 극복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13년간 UAE에서 활동한 Samar는 전통과 현대성을 조화시키는 복잡성에 대해 논의했다. 그는 특히 UAE의
뉴스노믹스 김지혜 기자 | 2024년 4월 27일 한국시간 저녁 8시에 제 8회 다양성과 포용성을 위한 문화 토크(8TH Cultural Talk For Diversity & Inclusion)가 개최됩니다. 이번 문화 토크는 지난 3월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여 여성(Women)에 대한 주제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여성에 대한 스피치와 토론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본 행사는 온라인 이벤트로 진행되며, 3명의 초대 연사가 발표를 통해 자신의 주제에 대해 이야기한 후에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질문과 토론이 이어집니다. 다양성과 포용성을 위한 문화 토크는 2023년 2월부터 시작된 정기 행사로, 다양한 국가의 참여자와 초청 연사들이 함께하는 이벤트입니다. 참여자들은 자유롭게 토론과 생각의 교류를 할 수 있으며, 이번 행사에는 여성을 주제로 초청 연사들의 스피치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전 말레이시아 IAF 지사장이며 전문 퍼실리테이터인 Patricia Rita Nunis와 아랍에미네이트의 이문화 컨설턴트 Samar Karam, 그리고 인도네시아 여성 Pradnya Samarra가 발표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각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경기도는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심리적 부담을 완화하고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13일 파주시를 시작으로 10월까지 심리상담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그동안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근로환경 상담, 한국어 교육, 한국문화 체험 등은 이뤄졌지만, 심리상담을 정식 프로그램으로 편성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기도는 이번 시범사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근로자의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근무 환경을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지원대상은 파주·안성·여주·연천 등 4개 시군에서 공공형으로 운영 중인 외국인 계절근로자 89명이다. 국가별로는 △라오스 45명(안성·파주) △캄보디아 22명(여주) △베트남 22명(연천) 중 희망자를 대상으로 한다. 심리상담은 근로자 휴무일을 활용해 집단 대면 상담 방식(회기당 2시간 이내, 5명 내외)으로 진행되며, 상담 전문가, 통역사, 경기도농촌인력지원센터 등이 공동형 숙소를 직접 찾아가 지원한다. 프로그램은 총 4주차 과정으로, 감정카드·도화지·핸드크림 등 소도구를 활용한 감정 탐색과 표현 연습을 통해 집단 속에서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상호작용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아울러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기웅정보통신(대표·최병인)은 데이터 API 플랫폼 ‘데이터 허브’의 ‘간편수집 Web 서비스’가 출시 1년 만에 대부업계와 금융업계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게다가, 최근 외국인 수요 증가에 대응해 외국인 비대면 서류제출 기능까지 지원하며 서비스 활용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데이터 허브’의 ‘간편수집 Web 서비스’는 기업이 별도의 앱 설치 없이 고객으로부터 필요한 증빙 서류를 비대면으로 수집할 수 있는 서비스다. 기업은 맞춤형 UI 커스터마이징과 자동화된 수집 과정을 제공받아 별도 IT 인프라가 없어도 필요한 정보를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더불어 지속적인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IT 인력과 그에 따른 비용 부담까지 크게 줄일 수 있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최근 확장한 외국인 관련 비대면 서류제출 기능은 △외국인등록증 진위 조회 △외국인 경력증명서 조회 △체류 만료일 조회 등 필수 공공 서류로 구성돼 국내 거주 외국인의 대출, 보험 가입, 계좌 개설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부업체들은 기존에 제공하는 개인 대출 패키지 내 해당 기능을 추가해 외국인 대상 비대면 대출 서비스 출시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경기도는 3일 의정부시 경기도이민사회통합지원센터에서 ‘경기도 이주민의 공공서비스 이용 실태조사’ 최종보고회를 열고, 이주민 공공서비스 접근성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도는 지난 5~6월 도내 이주민 4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이주민·지원단체 관계자·공공기관 종사자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했으며, 7월 중간보고회를 통해 주요 실태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이주민들은 복잡한 행정 서류(61.5%), 부족한 다국어 서비스로 인한 의사소통 문제(57.2%), 정보 부족(50.2%) 등으로 공공서비스 이용에 고충을 겪고 있었다. 온라인 서비스 회원가입 과정에서의 장벽과 이주민에 대한 차별 경험도 개선이 필요한 과제로 지적됐다. 실태조사와 연구를 진행한 경기도이민사회통합지원센터는 이를 토대로 공공서비스 개선을 위한 실행 과제를 제시했다. 연구책임자인 오경석 대표는 “온라인 본인인증, 공공 앱 접근, 금융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이주민 배제를 막기 위해 다국어 지원과 대체 인증수단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책 설계 단계부터 이주민 상황을 반영해 자국민 중심 행정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언어 장벽 해소를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세계한인경제무역협회(OKTA) 회원사 중 자동차부품을 취급하는 기업 및 파트너들이 오는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일산 KINTEX에서 개최 예정인 한국의 대표적 모빌리티 산업 전시회인 ‘제22회 국제모빌리티산업전’(KOAA·GTT Show)에 방한해 참가업체들과 구매 상담에 나선다. OKTA와 국제모빌리티산업전 주최사인 아인글로벌은 국내 자동차부품 업체들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고자 국제모빌리티산업전 기간 중 자동차부품을 취급하는 OKTA 회원사와 이들의 거래선, 협력 파트너 등을 초청해 전시회 참가업체들과 1:1 수출상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동 상담회는 국제모빌리티산업전 다음 주인 10월 27일부터 29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되는 ‘제29차 세계한인경제인대회’ 및 ‘2025 KOREA BUSINESS EXPO INCHEON’과 연계해 개최된다. 자동차부품 업체와의 상담을 희망하는 OKTA 회원사는 미리 입국해 상담회에 참가하게 된다. 국제모빌리티산업전 주최측에서는 "OKTA 회원사 외에도 전 세계 바이어를 유치 중에 있지만 재외동포 무역인들이 위기에 처한 자국 기업들을 위해 구매 상담회에 나서는 것"이라며 "국내외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외국인 근로자 인력 채용 전문기업 MCC리크루팅이 23년간의 해외 이민 서비스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전문 인재 채용 및 비자 수속 원스톱 솔루션 ‘MCC 리크루팅’을 새롭게 론칭했다. 국내 기업들의 해외 인력 채용 과정은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안고 있다. 숙련된 인력을 확보하지 못해 잦은 이직이 발생하고, 전문성이 부족한 인력을 채용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일부 기업은 인력난 해소를 위해 불법 체류자를 고용했다가 행정처벌, 벌금 부과, 기업 신용도 하락 등 심각한 불이익을 경험하기도 한다. 특히 외국인력 고용에 활용되는 대표적인 제도인 E-9 비자(비숙련 근로자 비자)와 E-7 비자(전문인력 비자)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다. E-9 비자는 제조업, 농축산업, 건설업 등 단순 기능직 분야에 활용되며 인력 공급이 제한적이고 이직률이 높다는 한계를 지닌다. 반면 E-7 비자는 전공과 경력을 갖춘 전문 기술 인력 채용 시 활용되며, 직무 전문성이 보장되고 장기 근속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해당 인재를 발굴하고 적법하게 비자 절차를 진행하는 것은 개별 기업이 직접 수행하기에는 상당한 부담이 따른다. ‘MCC 리크루팅’은